한국어를 지원하는 해외 사이트가 늘어나고 있을 정도로 해외직구가 요즘 인기입니다. 그러나 아직 해외 구매라는 것은 기다림과의 싸움이라고 할만큼 배송이 느리고 답답합니다. 거기에 한국 택배는 네이버에서 숫자만 입력하면 알아서 조회가능하지만 해외 택배는 그렇지 못하여 더욱 답답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해외 직구족들이 구매하는 대표적인 사이트들이 알려주는 송장번호로 어디서 어떻게 해외 택배 조회해야 하는지 자세히 알려드려 택배 도착일을 예측하고, 부가적으로 합산과세를 예방하실수 있었으면 합니다.




아마존에서 한국으로 국제 배송할 경우


 아마존은 엄청나게 다양한 물건을 파는, 그리고 한국인 구매자에게 관대한 그야말로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유용한 해외직구 사이트 중 하나입니다. 아마존에서 한국으로 직배송할 경우 대인배스러운 아마존 정책으로 인해 물건 파손이나 오배송으로 시간과 돈을 낭비되는 것을 상당히 예방할수 있습니다. 


 아마존은 i-parcel을 통해 직구 배송되는게 보통입니다. 예전에는 사리파슬로 불릴만큼 느린 배송으로 유명했지만 요즘은 꽤나 빨라진 i-parcel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아마존에서 i-parcel로 물건이 이관되면 보통 LAX 공항에서 ICN 공항으로 배송되게 되는데 그 이전까지는 아마존 자체 트랙 시스템으로 조회가능합니다.  물품이 비행기 타려 시작되면 i-parcel에서 받은 AEIIP로 시작하는 송장번호를 다음 사이트에서 조회합니다. https://tracking.sagawa-sgx.com/sgx/trackeng.asp

 그럼 AWB# 항목에 숫자로 시작하는 국내택배 송장번호를 확인할수 있게 됩니다. 만약 조회가 되지 않는다면 아직 미국에서 계속 배송중인걸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국내택배 송장번호가 나왔다면 관세청(https://unipass.customs.go.kr/csp/index.do)에 들어가 아래 그림처럼 숫자를 입력하고 조회하게 되면 통관 진행상황을 알수 있게 됩니다.

 


 만약 비행기가 언제 뜨는지, 어디쯤인지 확인하고 싶다면 http://jkh.kr/tgate/customs.php 이곳에서 국내택배 송장 번호를 입력하고 조회합니다. 그럼 선박/항공편명에 본인 국제 택배 물품이 실릴 항공기 번호가 나옵니다.

 항공기 번호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면 http://ko.flightaware.com/ 이곳에 항공기 번호를 입력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습득할수 있습니다.



 혹시 위 사이트에서 항공기 번호가 중복되어 여러날 운행된다면 http://jkh.kr/tgate/customs.php 이곳에서 얻은 항공사 운송장 번호를 이용해 항공사 홈페이지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180으로 시작하는 번호는 대한항공, 988은 아시아나이며, 아이파슬로 주로 오는 항공편은 홍콩을 경유하여 오는 Cathay Pacific으로 160으로 시작합니다.  Cathay Pacific 홈페이지 메뉴인 http://www.track-trace.com/aircargo 사이트에 들어가 항공기 운손장 번호를 입력하면 더욱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사진은 실제 제가 직구중인 물품이 배송중인 모습입니다. 



만약 아마존 국제 택배가  i-parcel이 아닌 apex이나 ups라면 더욱 간편합니다.


 apex는 https://track.rocketparcel.com/track/web에서 ups는 https://www.ups.com/WebTracking/track?loc=ko_KR에서 손쉽게 배송 상태를 조회하실수 있겠습니다.



 아마존 혹은 다른 사이트에서 한국으로 직배송이 되지 않는 물건을 구입하여 미국내 배송대행지(배대지)로 보낸 택배 물품은 https://www.packagetrackr.com/ 이곳에서 한국 택배 조회하는 것만큼 간편하게 조회할수 있습니다. 

 packagetrackr는 대표적인 배송 업체인 UPS, FedEx, USPS, DHL, LaserShip, OnTrac 배송조회 뿐만 아니라 A1 International, Aramex Express. Australia Post, Canada Post, CEVA, China EMS, China Post, DPD Germany, Dynamex, Ensenda, GSO, Hongkong Post. India Post, Japan Post, OSM, Parcelforce, Post Danmark, Posten Norge, PostNord Sverige, Purolator, Royal Mail, Spee Dee Delivery, Thailand Post, TNT Express, Toll Priority, Global Postal, Yodel Domestic, YRC Freight 의 배송조회도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혹시 배송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광고차단 프로그램을 해제하고 보셔야 한다고 합니다.




 또한 애프터쉽이란 https://www.aftership.com/apps/track-button 사이트에서도 아이파슬, DHL, FEDEX뿐만 아니라 전세계 426개국에 대한 택배 조회가 가능하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미국에 아마존이 있다면 중국에는 알리 익스프레스가 있습니다. 알리 익스프레스에서는 보통 저렴한 물건을 저렴한 국제 우편인 차이나 포스트 에어메일이나 홍공 포스트 에어메일 등을 이용하여 주문하게 되는만큼 조회가 까다롭습니다.

 

 알리에서 나온 국제 송장번호는 https://www.17track.net/ko나 https://global.cainiao.com/ 이곳에서 상태를 확인할수 있습니다.


 만약 알리익스프레스나 ebay에서 보내오는 제품중 ID로 시작하는 송장번호의 경우는 위 사이트들에서 조회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럴 경우 https://track24.net/service/winit/tracking/ 이곳이나 http://track.winit.com.cn/tracking/Index/index/l/en-us 이곳에서 조회하시면 되겠습니다.